반응형
Bridge vs Router
Bridge | Router |
Link Layer Divece : Ethernet Frame Header를 검사 MAC Tables (Bridge Tables) Filtering, Spanning Tree Algorithms |
Network Layer Device : IP Header를 검사 Routing Tables Routing Algorithms |
장점 | |
Simple Packet Processing MAC Table Self Learning (Plug & Play) |
임의의 Topology 지원, TTL이 Packet Cycling을 방지 Protection Broadcast Storms |
단점 | |
Spanning Tree Protocol : Alternative Bandwidth (대체 대역폭) 이용 불가 Broadcast Storm |
IP Address Configuration (No PnP) Higher Packet Processing |
더보기
Router는 대규모 네트워크 (천만 Host 단위)
Bridge는 소규모 네트워크 (몇백만 Host 단위)
Ethernet Switch
- Layer 2(Frame) Forwarding, Filtering using MAC Address
- Switching : A-to-A' and B-to-B' simultaneously(동시에), no collisions(Traffing Isolation)
- Star-Topology(성형, 스타형 토폴로지)¹ : Host - Switch (no collisions)
Typical(전형적인) LAN (IP Network)
1. Star-Topology
- 중앙집중식 구조
- 중앙의 교환장비가 데이터 경로를 개설하고 유도
- 이용자의 스테이션은 중앙의 겨환장비에 Point-to-Point 링크로 연결
- Ethernet LAN연결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리적 Topology
- 구축 비용면에서 물리적 Star-Topology가 물리적 버스 Topology보다 더 비싸지만 비용 이상의 가치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