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hared Ethernet
|
|
1. Repeater HUB는 포트 A로 수신된 Ethernet 비트열을 재생하여 수신된 포트를 제외한 모든 포트로 전송 2. 모든 포트는 동일 세그먼트 |
1. 2대 이상의 단말이 통신을 할 경우 충돌이 발생. 따라서 2대 이상의 단말의 통신이 불가 2. 충돌 제어로 CSMACD 방식 동작 3. 회선속도 = 10M / 단말 수 |
- 초기 10 BASE-T HUB 장비들은 Repeater HUB 또는 Shared HUB라 불리는 매체 공유 방식(Shared)
- 따라서 두 개 이상의 스테이션이 통신을 할 경우 충돌이 발생하였으므로 통신방식은 반이중(Half Pulex)으로 동작
Half Duplex / Full Duplex
[Half Duplex Mode] 송신과 수신을 한 번씩 번갈아 가며 교대로 하는 방식으로 전송 중에는 수신 불가 |
[Full Duplex Mode]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하는 방식으로 통신로를 분산하여 데이터 전송속도가 2배 |
1. 서로 다른 별도의 2쌍의 송.수신을 동시에 사용하지 않고 TX, RX를 각각 사용 2. Shared Ethernet LAN 환셩에서 사용하던 방식 |
1. 1쌍에서 수신 다른 1쌍에서 송신이 동시에 이루어 집니다. 따라서 2배의 대역을 가집니다. (100Mbps x 2 = 200Mbps) 2. CSMA/CD 방식으로 운영되는 Shared LAN 환경에서는 HUB 구조상 동시에 송/수신이 불가능 하므로 FDX방식은 의미가 없습니다. |
Bridge Ethernet
- 매체를 공유하는 Ethernet 환경에서는 세그먼트의 단말수가 늘수록 급격하게 성능 저하가 옵니다.
Shared HUB로만 네트워크를 구성하였을 경우 결국에는 커다란 하나의 세그먼트의 LAN 환경이 되어 네트워크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을 정도의 성능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 Bridge는 네트워크 확장성에 근거하여 하나의 세그먼트를 여러 개의 독립적인 세그먼트로 분할해 줍니다.
Switch Ethernet
- Switch는 Bridge의 확장 개념으로 각각의 포트가 동시에 독립적인 통신을 합니다.
- 각 포트는 각각 서로 다른 Collision Domain을 제공하므로 전체 대역폭 = 각 포트의 대역폭의 합
UTP
- Cabling : 네트워크 장애 원인의 50 ~ 70%
- EIA/TIA-568B Specification
Label | Color Code | Pin Number | 내가 외우는 방식 |
T2 | White/Orange (주황띠) | 1 | 흰주 |
R2 | Orange/White (주황) | 2 | |
T3 | White/Green (녹색띠) | 3 | 흰초 |
R1 | Blue/White (파랑) | 4 | 파 |
T1 | White/Blue (파랑띠) | 5 | 흰파 |
R3 | Green/White (녹색) | 6 | 파 |
T4 | While/Brown (갈색띠) | 7 | 흰갈 |
R4 | Brown/White (갈색) | 8 | 갈 |
UTP Cabling
- Straight UTP Cable : Host-to-Network Connection
- Cross UTP Cable : Host-to-Host, Network-to-Network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