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 STP (2/2)

조아리 ㅣ 2024. 8. 27. 11:11

반응형

이번 시간엔 STP 설정이 어떻게 되는지 각 Case별로 살펴보고 STP에 대해 좀 더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Case 1.

 

위와 같이 구성을 하고 다음 요구조건들을 순서대로 진행해 보겠습니다.

 

요구조건

  1. Root Bridge(Switch), Non-Root Bridge 확인하기
  2. 각 포트별로 Role, Status 확인

 

요구조건 1. # show spanning-tree 

 

show spanning-tree command로 살펴본 결과 SW03이 Root Bridge라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요구조건 2. 

 

요구조건 1과 같은 Command(# show spanning-tree)로 확인합니다.

SW01) Fa0/24 (Role - Root, Status - Forward)

SW02) Fa0/24 (Role - Designated, Status - Forward), Fa0/23 (Role - Root, Status Forward)

SW03) Fa0/23 (Role - Designated, Status - Forward)

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Case를 통해 알 수 있는 것 중 하나는 따로 설정을 하지 않아도 연결을 하면 자동으로 STP 설정이 된다는 것입니다. 

 

 

Case 2.

 

요구조건

  1. Root Bridge, Non-Root Bridge 확인
  2. 각 포트별로 Role, Status 확인
  3. Blocking Port가 Forwarding으로 변화하는데 걸리는 시간과 이유 확인
  4. 요구조건 3번의 시간을 단축 시킬 수 있는 방법 확인

 

요구조건 1. # show spanning-tree

 

# show spanning-tree Command로 살펴본 결과 SW11이 Root Bridge임을 알 수 있었습니다.

이때, SW33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show spanning-tree를 모두 적어줄 필요는 없습니다.

 

요구조건 2. 

 

요구조건 1과 같은 Command(# show spanning-tree)로 확인합니다.

SW11) Fa0/1 (Role - Designated, Status - Forward), Fa0/3 (Role - Designated, Status - Forward)

SW22) Fa0/1 (Role - Root, Status - Forward), Fa0/2 (Role - Alternated, Status - Blocking)

SW33) Fa0/2 (Role - Designated, Status - Forward), Fa0/3 (Role - Root, Status - Forward)

인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SW22의 Fa0/2의 Status가 Blocking임을 확인하고 다시 구성도를 보시면 주황색 표시가 Blocking인 것을 아실 수 있습니다.

 

요구조건 3.

Blocking Port가 Forwarding Port로 변화하는데 총 30초가 걸립니다.

이는 설정 BPDU의 Forwarding delay가 15초로 설정되어 있어서 Listening과 Learning 시간이 각각 15초씩 걸리기 때문입니다. 

 

요구조건 4.

config)# spanning-tree vlan 20 forward-time 10

마지막 10 자리에는 15보다 작은 숫자가 오면 됩니다. 기본적으로 15로 설정되어 있기 때문에 그보다 줄이고 싶다면 그 보다 작은 숫자를 적어주시면 됩니다.

 

Case 3.

 

요구조건

  1. VLAN 10 - 1.1.1.0/24 부여
    VLAN 20 - 1.1.2.0/24 부여
    Fa0/23, Fa0/24 Trunk Mode 설정
  2. VLAN별 Root Bridge 확인
  3. 각 포트별로 Role Status 확인 (VLAN 구분)
  4. VLAN 20의 Blocking Port 변경

 

요구조건 1.

SW22 & SW23) 

config)# vlan 10
config)# vlan 20
config)# interface fa0/1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config)# interface fa0/2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config)# interface range fa0/23-24
config-if-range)# switchport mode trunk

 

요구조건 2,3. # show spanning-tree vlan 10(20)

  • VLAN 10
    • Root Bridge - SW31
    • SW31
      • 모든 Interface (Role - Desg, Status - FWD)
    • SW32
      • Fa0/1 (Role - Desg, Status FWD)
      • Fa0/23 (Role - Root, Status - FWD)
      • Fa0/24 (Role - Altn, Status - BLK)

 

  • VLAN 20
    • Root Bridge - SW31
    • SW31
      • 모든 Interface (Role - Desg, Status - FWD)
    •  SW32
      • Fa0/2 (Role - Desg, Status FWD)
      • Fa0/23 (Role - Root, Status - FWD)
      • Fa0/24 (Role - Altn, Status - BLK)

 

요구조건 4.

Root Bridge는 priority 값에 의해 정해집니다. 이때, priority의 값이 더 낮은 Switch가 Root Bridge가 됩니다. 그러므로 강제로 SW32의 priority값을 낮춰주도록 하겠습니다.

 

SW32)

config)# spanning-tree vlan 20 priority 4096

 

 

그런 뒤 30초간 기다려 주면 위와 같이 Root Bridge가 SW32로 바뀌고 Blocking Port도 SW31의 Fa0/24로 바뀌게 됩니다.

 


 

오늘은 위와 같이 세 가지 Case를 이용해서 STP에 대해서 좀 더 깊이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다음 시간엔 PVST+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