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 VTP

조아리 ㅣ 2024. 8. 23. 11:11

반응형

지난 시간에 Trunk에 대해 알아보며 VTP도 같이 알아봤었습니다. (https://joari.tistory.com/entry/CCNA-VLAN-22-Trunk)

이번 시간에는 간단한 실습을 통해 VTP에 대해 복습하는 시간을 갖도록 하겠습니다.

 

요구 조건

  1. SW0 과 SW1 간에 Link를 Trunk로 설정한 뒤 두 Switch의 VTP Domain name을 CCNA로 설정
  2. SW0 에 VLAN 30 을 생성&삭제하고 SW1 에서 확인
  3. SW0 에서 VTP Password를 cisco로 설정 후 VLAN 40을 생성하고 SW1에서 확인
  4. SW1 의 VTP mode를 client로 변경하고 VLAN 50 을 생성
  5. SW1 의 VTP mode를 transparent로 변경하고, Revision num이 0으로 변경되는 것을 확인
  6. SW1 에서 VLAN 70 을 생성해서 SW0 에 동기화가 되지 않는 것을 확인

 

요구조건 1

SW0

config)# interface range fa0/23-24
config-range-if)# switchport mode trunk
config)# vlan 10
config)# vlan 20
config)# interface fa0/1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config)# interface fa0/2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config)# VTP domain CCNA

 

SW1

config)# interface range fa0/23-24
config-range-if)# switchport mode trunk
config)# vlan 10
config)# vlan 20
config)# interface fa0/1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10
config)# interface fa0/2
config-if)# switchport mode access
config-if)# switchport access vlan 20

 

* SW1에서는 VTP domain CCNA를 해줄 필요가 없습니다. Command를 입력하면 'Domain name already set to CCNA.' 가 출력이 될 것입니다.

 

요구조건 2

SW0

config)# vlan 30

 

 

SW0

config)# no vlan 30

 

 

SW0 에서 VLAN 30 을 만들었을 때, SW1 에도 자동으로 생기고 SW0 에서 VLAN 30 을 삭제하면 SW1 에서도 삭제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구조건 3

SW0

config)# vtp password cisco
config)# vlan 40

 

 

비밀번호를 SW0 에만 부여하면 VLAN을 생성해도 SW1 에서는 VLAN 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구조건 4

SW1

config)# vtp mode client
config)# vlan 50

 

'VTP VLAN configuration not allowed when device is in CLIENT mode.' 라는 문구가 출력되며 VLAN 50이 생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Client mode이기 때문입니다.

 

요구조건 5

SW1

config)# vtp mode transparent

 

transparent 모드로 변경하기 전의 Revision num

 

transparent 모드로 변경할 수의 Revision num

 

Transparent 모드로 설정하기 전에는 0 이상의 숫자였던 것이 Transparent 모드로 바꾸자마자 0이 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요구조건 6

SW1이 여전히 Transparent 모드인 상태에서 실행합니다.

 

SW1

config)# vlan 70

 

 

위 사진을 보시면 SW0에서는 VLAN 70 (VLAN0070)이 생기지 않아 못 찾았다는 문구가 출력되지만 SW1에는 생성이 되어 있는 모습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