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 같은 네트워크
A to B
- 망을 조회해서 포워딩 테이블의 B주소를 찾습니다.
- A와 B가 같은 망에 있네요!!
- 링크 계층은 링크 계층 프레임 내부의 B로 데이터그램을 직접 전송합니다.
in 다른 네트워크
A to E
- 포워딩 테이블에서 E의 네트워크를 검색합니다.
- 다음 Hop은 223.1.1.4네요(Router). Datagram을 보내도록 합니다.
- Router의 포워딩 테이블에서 E의 네트워크 주소를 검색합니다.
- Router의 223.1.2.9와 같은 네트워크네요!
- Router와 직접 연결되어 있네요. 링크 계층은 2231.2.9를 통해 223.1.2.2로 Datagram을 보냅니다.
- Datagram은 E에 도착!
더보기
저는 여기에서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계속해서 출발지와 목적지(Source, Destination)가 달라지는 것인가? B에서 A로도 전송이 될 텐에 A의 IP주소를 어떻게 아는 거지? 어떻게 유지하지?
이런 의문점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알아본 결과 IP는 A와 E를 유지하고 MAC Address만 계속해서 바뀌는 것이죠.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위와 같이 Datagram이 이동할 때는 다음과 같이 출발지, 목적지가 변합니다.
1. S_IP : A D_IP : B S_MAC : A D_MAC : 1 |
2. S_IP : A D_IP : B S_MAC : 1 D_MAC : 2 |
3. S_IP : A D_IP : B S_MAC : 2 D_MAC : 3 |
4. S_IP : A D_IP : B S_MAC : 3 D_MAC : 4 |
5. S_IP : A D_IP : B S_MAC : 4 D_MAC : B |
이런 과정을 거쳐서 B는 A가 보냈다는 것을 알게 되는 것이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