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CNA] VLAN (2/2) : Trunk

조아리 ㅣ 2024. 7. 23. 11:11

반응형

Trunk란? (Tagging)

스위치와 스위치의 프레임 전달 시, 하나의 포트에 다수의 VLAN이 지나갈 수 있도록 기능하는 링크. 이 때, VLAN을 구별 할 수 있게 해주는 것이 IEEE 802.1Q입니다.

 

IEEE 802.1Q

네트워크 프레임에 VLAN 태그를 추가하여 여러 VLAN이 동일한 포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Porotocol입니다.

 

  • 기능 : 프레임에 4 bytes의 태그를 추가하여 여러 VLAN이 동일한 포트를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하는 프로토콜
  • Native VLAN : 트렁크 포트를 통해 태그 없이 전송되는 VLAN. 기본적으로 VLAN 1에 해당합니다.
  • Header 구조

 

 

VTP

Cisco에서 개발한 프로토콜로, 스위치 간에 VLAN 정보를 전파하고 관리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특징

  1. VLAN 추가, 삭제
  2. 변경 전파
  3. 최신 변경 사항에 동기화

 

 

기능

네트워크 관리자가 하나의 스위치에서 VLAN을 생성, 수정 또는 삭제하면 해당 변경 사항이 VTP 도메인 내의 다른 스위치로 자동으로 전파되도록 합니다.

 

동작 모드

  • Server Mode : VLAN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으며, VTP 정보를 다른 스위치에 전파합니다.
  • Client Mode : VLAN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없으며, VTP 서버에서 받은 정보를 사용합니다.
  • Transparent Mode : VTP 정보를 전파하지 않으며, 로컬에서 VLAN을 생성, 수정, 삭제할 수 있습니다.

 

VTP 구성 지침

  • Cisco Catalyst 스위치의 VTP 기본값:
    • VTP 도메인 이름: 없음
    • VTP 모드: 서버 모드
    • VTP 가지치기: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모델별) – VTP 암호: Null
    • VTP 버전: 버전 1
  • 새 스위치는 서버로부터 광고를 받으면 자동으로 도메인의 일부가 될 수 있습니다.
  • VTP 클라이언트는 클라이언트의 리비전 번호가 높을 경우 VTP 서버 데이터베이스를 덮어쓸 수 있습니다.
  • 도메인 이름은 할당된 후에는 제거할 수 없으며 재할당만 가능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