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OSI 7 Layer 구성

  1. 1계층 : Physical
    • 비트 단위의 정보를 물리적 매체를 통해 전자기적 신호나 광 신호로 전달
    • 부조화, 변조, 신호전파, 동기화 ¹ 등의 과정을 수행
  2. 2계층 : Data Link
    • 전송 링크 상에서 하나의 프레임을 안전하게 전송하는 것이 목적
    • 프레임의 에러 여부를 확인하고,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을 재전송하는 기능
  3. 3계층 : Network
    • 송신지로부터 수신지까지의 Pack Path를 제공
    • Routing, Flow Control, Error Control을 수행
  4. 4계층 : Transport
    • 실질적인 정보 전송에 처음으로 관여하여 정보 전송을 책임
    • 메시지를 알맞은 크기로 Segmentation/Reassembly(분할/재조립)하는 기능
    • Flow Control, Checksum 방식으로 전송 에러 검출
  5. 5계층 : Session
    • 응용 프로그램 간의 논리적 연결을 확립하고 관리
  6. 6계층 : Presentation
    • 응용 계층 Entity간의 정보를 교환하는 방식을 공통된 방식으로 통일
    • 안정성을 위한 암호화와 효율적인 전송을 위한 정보의 압축등의 기능을 제공
  7. 7계층 : Application
    • 사용자 응용프로그램 간의 정보 교환을 담당한다.

 

OSI 7 Lay Architecture

 

Encapsulations/Fragmentation (캡슐화/파편화)

각 계층에서 담당하는 Header(&Footer)를 받은 Data과 함께 캡슐화/파편화를 한다.

 

OSI vs TCP/IP Protocol Stack

  1. OSI Architecture : 7 Layer로 구성
  2. TCP/IP Architecture : 4 Layer로 단순화
    • Network Interface (Physical, Data Link Layer 통합)
    • Internet (Network) : IP
    • Transport : TCP/UDP
    • Application Session Layer (Session, Presentation, Application Layer 통합) : Socket.²으로 처리

 

Ports & Sockets

 

 

데이터의 흐름


International Standards (국제 표준)

  1.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 CCITT (V.24 (RS-232), X.25)
  2. ISO (International Standard Organization)
    • 200 Technical Committees (Working Groups)
  3. IEEE (Institute of Electrical & Electronics Engineers)
    • IEEE 802.3, etc
  4. IETE (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
 

Home

 

www.ietf.org

 

IP RFCs Routing RFCs
RFC791 - Internet Protocol
RFC768 - User Datagram Protocol (UDP)
RFC793 -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RFC826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RFC903 -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ARP)
RFC1256 - ICMP Router Discovery Messages
RFC1350 - TFTP Protocol (Revision 2)
RFC894 - IP over Ethernet
RFC1483 - Multi protocol Encapsulation over ATM Adaption Layer 5
RFC1631 - The IP Network Translator (NAT)
RFC1883 - IP Version 6 (Ip v6) Specification
RFC2131 -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RFC1311 - Open Shortest First Path
RFC1388 - Routing Information Protocol version 2
RFC2328 - Open Shortest First Path version 2
RFC911 - Exterior Gateway Protocol
RFC1163 - Border Gateway Protocol
RFC1142 - IS-IS Intra Domain Routing Protocol

 


1. 부조화, 변조, 신호전파, 동기화

  1. 부조화 | Encoding
    1. 부조화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하기 위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2. 디지털 신호는 0과 1의 이진 코드로 표현되지만, 이를 전송 매체에 적합한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3. 대표적인 부조화 방식으로는 NRZ (Non-Return-to-Zero), Manchester Encoding, AMI (Alternate Mark Inversion) 등이 있습니다.
  2. 변조 | Modulation
    1. 변조는 디지털 신호를 전송 매체에 적합한 형태의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입니다.
    2. 주로 전송 매체로는 도선, 광섬유, 무선 등이 사용되며, 각각에 적합한 신호로 변환해야 합니다.
    3. 예를 들어, 전선에는 전압이나 전류의 변화로 신호를 전송하고, 광섬유에는 빛의 강도를 변화시켜 신호를 전송합니다.
    4. 변조 방식에는 ASK (Amplitude Shift Keying), FSK (Frequency Shift Keying), PSK (Phase Shift Keying) 등이 있습니다.
  3. 신호전파 | Signal Propagation
    1. 변조된 신호는 전송 매체를 통해 전파되어 수신기로 전달됩니다.
    2. 전파는 전송 매체에 따라 다르며, 전선의 경우 전기적 신호, 광섬유의 경우 광 신호로 전파됩니다.
    3. 전파 중에는 신호가 감쇠하거나 왜곡될 수 있으며, 이를 보상하기 위해 증폭기나 등속기 등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4. 동기화 | Synchronization
    1. 동기화는 송수신기 간의 시간적 동기를 맞추는 과정입니다.
    2. 시간적인 동기화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송신된 신호가 적절히 수신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3. 이를 위해 송신기와 수신기는 주기적으로 동기화 신호를 교환하거나, 클럭 신호를 이용하여 동기화를 유지합니다.

 

2. Socket

http://jkkang.net/unix/netprg/chap2/net2_1.html

반응형